부처님의 법이 머문다는 뜻의 법주사는 속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진흥왕 14년(서기 553)에 의신조사가 창건하고 성덕왕과 혜공왕이 중창하였는데 이때부터 대찰의 규모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고려 홍건적의 침입 때는 공민왕이 안동으로 피난을 왔다가 환궁하는 길에 들르기도 하였고 조선 태조는 즉위하기 전 백일기도를 올리기도 하였으며 병에 걸렸던 세조는 복천암에서 사흘 기도를 올리기도 하였다고 한다. 조선 중기에 이르러서는 60여 동의 건물과 70여 개의 암자를 거느린 대찰로서 위용을 떨치게 되었지만, 임진왜란으로 인해 사찰의 거의 모든 건물이 전소되어 1624년 인조 2년에 이르러 벽암스님에 의해 다시 중창하였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친 후 오늘에 이른다. 예전 법주사 가람배치는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하는 화엄신앙축과 용화보전을 중심으로 하는 미륵신앙축이 팔상전에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었으나, 1990년 높이가 33미터에 이르는 청동 미륵불을 조성하면서 그 배치가 흩어져 버렸다. 경내에는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용화전, 원통보전, 명부전, 능인전, 조사각, 진영각, 삼성각 등 전각과 종무소를 포함한 10여 채의 요사채들이 남아 있다. 이곳 법주사를 비롯한 속리산 일대에는 보은의 지정 문화재 절반 이상이 몰려 있는데 그중 법주사에는 국보가 3점이나 된다. 또, 천왕문과 사도세자의 어머니 영빈 이씨의 위패를 모셨던 선희궁 원단, 16나한을 모시고 있는 능인전, 자기 몸을 태워 부처님께 공양한 희견보살상, 그리고 쌀 80가마는 너끈히 들어가는 석조와 쇠솥 등이 그것이다. 법주사는 천 년이 넘는 역사를 통한 미륵신앙이 전해져 내려왔던 곳으로써 기도와 예불 수행 등 기초적인 불교문화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템플스테이를 진행하고 있다. 법주사 템플스테이 ‘다 ~ 잘 될 거야’는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길러 스스로를 위로하며 행복하게 살아가자는 프로그램으로 당일형과 1박 2일 체험형, 휴식형까지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반복되는 일상에서 벗어나 맑고 고요한 산사에서 생활 속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 몸과 마을에 활기와 여유를 갖게 해 준다. 당일형 체험은 20명 이상 단체만 가능하며 모든 프로그램은 사전예약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 팔상전(국보) 5층 목탑으로서 우리나라 목탑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팔상전은 신라 진흥왕 때에 의신이 세웠고, 776년 병진이 중창하였고, 1597년 정유재란 때 소실된 것을 1605년에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벽면에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가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 이름 붙였다. 팔상전은 1984년에 쌍봉사의 대웅전으로 쓰이고 있던 3층 목조탑이 소실됨으로써 한국 목조탑의 유일한 실례가 된 중요한 건축물로 전체높이가 상륜까지 22.7m이며 현존하는 한국의 탑파 중 제일 높은 것이다. * 석연지(국보) 8각의 지대석 위에 3단의 굄과 한 층의 복련대를 더하고 그 위에 구름무늬로 장석을 놓아 거대한 석련지를 떠받쳐 마치 연꽃이 구름 위에 둥둥 뜬 듯한 모습을 조식한 걸작품으로 8세기경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고 있다. * 쌍사자 석등(국보) 신라 석등 중 뛰어난 작품 중의 하나로 그 조성 연대는 성덕왕 19년(720)으로 추정되고 있다. 석등의 간주석을 석사자로 대치한 이 석등은 전형적인 양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8각의 지대석 위에 하대 연화석과 쌍사자 연화대 방석을 모두 하나의 돌에 조각한 것으로 다른 석등에 비해 화사석과 옥개석이 큰 것이 특징이다.
■ 소개 :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때(553년) 의신 스님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유서 깊은 사찰로, '부처님의 법이 머무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임진왜란 때 대부분 소실되었으나, 이후 중건과 중수를 거쳐 조선 중기의 양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속리산의 수려한 자연 속에 자리하고 있어 사찰로 들어가는 길 자체가 걷기 좋은 숲길 산책로로 조성되어 있으며, 특히 가을 단풍이 절정을 이루는 시기에 방문하면 붉게 물든 산사의 고즈넉한 풍경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주요 볼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팔상전 (국보 제55호): 국내에 현존하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법주사의 상징과도 같습니다.
쌍사자 석등 (국보 제5호):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8각 석등 양식이지만, 석등 기둥을 두 마리의 사자로 표현한 독창적인 걸작입니다.
석연지 (국보 제64호): 돌로 만든 연꽃 모양의 대형 물통으로, 섬세한 조각이 돋보입니다.
통일 금동미륵대불: 웅장한 크기를 자랑하는 현대적인 불상으로, 불교 신자들에게는 신라 시대에 처음 조성되었다는 의미가 깊습니다.
법주사는 템플스테이도 운영하고 있어 속세 탈출을 꿈꾸는 이들에게 힐링 여행지로도 인기가 높습니다.
■ 좋은 이유 :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대표적인 산사로서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문화유산의 보고: 팔상전, 쌍사자 석등, 석연지 등 국보 3점을 포함한 다수의 보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힐링 산책로: 법주사로 향하는 길은 숲과 계곡이 어우러진 산책로로, 걷는 것만으로도 힐링이 됩니다.
단풍 명소: 가을철 속리산과 법주사 주변의 붉은 단풍은 빼어난 절경을 자랑합니다.
역사 교육의 장: 천 년 고찰의 역사와 건축물을 통해 한국 불교 문화의 정수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템플스테이: 사찰에서 숙박하며 한국의 전통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아이들이 놀기 좋은지 : 놀이 시설은 없으나, 국립공원 내 자연 학습과 국보급 문화재 관람을 통해 교육적인 역사 문화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한지 : 검색된 정보에서는 명확히 언급되지 않았으나, 국립공원 및 대부분의 사찰의 특성상 내부 출입은 제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방문 전 법주사(043-543-3615) 또는 속리산 국립공원 관리사무소에 문의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 각종 편의시설 :
관람 시간: 평상시 06:00~18:30 / 동절기 06:00~17:30
입장료: 문화재 관람료 징수 (무료 개방 정책 관련 정보가 혼재되어 있으니 현장 확인 필요)
주차시설: 유료 주차장 이용 (1일 주차료 5,000원 선)
이용 가능 시설: 템플스테이, 대웅보전, 팔상전 등
■ 주변 맛집 명소 :
■ 주변 카페 명소 :
■ 주변 숙박 명소 :
법주사 템플스테이: 사찰 숙박 체험.
보은 속리산 라온 호텔, 보은(속리산) 위너스 호텔: 법주사 근처 숙소.
보은(속리산) 처음처럼 펜션텔, 보은 속리산펜션모텔: 법주사 근처 펜션/모텔.
레이크힐스 속리산 호텔: 인근 관광호텔.